반응형

<<922 2강(한국회화사).wma>>

   

오디오 녹음 시작: 2011년 9월 22일 목요일 오후 2:09

Patricia Ebrey - Taking out the Grand Carriage : Imperial Spectacle and the Visual Culture of Northern Song Kaifeng

  

Patricia Ebrey, Portrait Sculptures in Imperial Ancestral Rites In Song China.

조각 - 위패,

Scarlet Jang, Realm of the Immortals: Painting and Decorating the Jade Hall of the Northern Song.

  

Imperial Sculptures

Ebrey - 송대 역사학자. 주희의 주자가례 번역, Annotation, 당송시대사의 대가.

최근에는 송 휘종에 관한 책을 하나 냈고, 송 휘종에 관심이 많다. 휘종에 관한 Editor로 낸 책 있다.

이 논문이 중요한 이유 - 한국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이해하기에 중요하다.

명패. 神主 = 태묘에 봉안되는 것. 본래 유교 의례에서는 초상이 아니라 신주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과 초상조각을 모신 사당을 따로 만들었다. 경령궁. 불교적인,유학자들의 반대나 그런것이 많이 .

기본적으로 송대적 전통. 화원제도가 정착, 제도화된 것이 송대이므로 이것을 다루는 것.

신주

황제가 pairing을 부인과 해줘야 하는데, 와이프가 너무 많으면 신주의 pairing이 안되니깐, 어떤 사람은 1:4가 되어서 헐어버리기도 하다.

후궁이기 때문에 황제가 되었을때 empress로 격상시키기도 하고. 신주는 1인당 한명씩 되어야 하는데, 초상조각은 몇개씩 하기도 했다.

이 체제가 조선의 모델이 되었던 체제이다. 역대제왕의 신주를 모시고 교체했는데, 이후 조선 초기부터 왕의 어진을 봉안하는 곳이 생기게 된다. 조선전기 서울 선원전 경기전, 함흥 준원전, 경주에 뭐뭐 이렇게. 초상화를 그려서 여러 카피를 보관했다. 이런 체제가 송대 전통을 따른 것이다. ㅇ

우리는 초상조각이 있기도 하다. 왕건의 초상조각. ㅇ

집에서 제사지낼 때, 주희의 일호불사론.

황제들의 초상조각이 있었다는 건 처음 아는 사람도 있을듯

   

Realm of the Immortals

주된 내용은 - 도교적 요소가 포함되어있는 것을 사료와 함께 엮어서 . 팩트 전달.

곽희의 작품을 엮어서 도교적 요소를 보여주기.

Jade Book?

한림학사를 도교의 선인처럼 여겨지게, 학사원 자체를 도교적 신화에 나오는 곳으로 하는 인식이 한대로부터.

Williams college에 있는데, 캐힐제자이다. 주로 송대 궁정회화에서 정치적 기능에 대한 박사논문을 썼던 사람이다.

원래가 이 주제는 뒤의 주석에 보면, 7번에 , 스즈키케이 회갑논총에 나오는 원정

옥당에 들어갔을 그림은 여기 들어있을 것이다 .

벽화를 그려서 장식화를 하기도 했을 것이다.

이러한 송대의 시스템들이 조선시대로

궁안의 벽화들은 거의 없어지고, 김규진의 해금강 (덕수궁) 그림정도가 남아있다.

그림 내부를 장식하는. 그런걸 알려주어 화원들의 활동이 어떠했을까 짐작이 가능.

   

   

   

  1. 스즈키케이 논문
    1. 송태조 조광윤 초상
      1. 998년 진종 함평 원녕
      2. 대조 3인(waiting to the court)
      3. 예학 6인
      4. 지후 4인,
      5. 학생 40인
        1. 곽희는 예학, 董羽도 예학
        2. 마원, 이당, 하규는 대조까지 했다.
          1. 곽희가 예학이던 시대에 대조에 올랐던 사람은 지금 거의 안알려져있고
    2. 송 휘종 시기 화학(畵學)(신종시기에 개설된 화학을 개혁하여, 일종의 궁정회화 전문학교로 만듦.)
      1. 미불 - 書畵博士.
    3. 애매하기도 하지만, 황제직속의 화원, 서화감식가들이 명확한 제도는 모르지만 특별한 임무를 맡고 있었던 것일거다.
      1. 자비대령화원(우리나라)差備대령화원
        1. 녹취재 - 시험을 보는 것. 그중 잘한 사람 보너스 주고.
        2. 한국의 경우 교수와 겸교수가 있다.
          1. 교수 - 화원내에 있는 자리. 그림 가르쳐주는 것.
          2. 겸교수 - 다른데에 있는 사람인데 여기 교수로도 등록되어있는 ADJUNCT PROFESSOR.
            1. 정선 - 관상감겸교수
      2. 곽희, BENEVOLANT한 RULERSHIP의 상징으로서 이러한 산수화를 그렸을 것이다.
      3. 이당 - 북송의 마지막 대조이자, 남송의 초대 대조가 된 사람.
      4. 마원 - 마씨들의 거의 대조를 했다. 마린.
      5. 하규 - 풍우산수도.
      6. 명대 -
        1. 원대에는 사라져버리고, 명대에는 - 기구는 없고, 임시적으로 화원을 데려다 쓰는 것.
        2. 원체화풍 - Painting Academy style
        3. 절파 화가들 상당수가 화원에서 활동했을 것.
        4. 상희,
        5. 대진 - 나왔다 들어왔다 여러 번 반복.
        6. 오위는 궁정화가를 하지 않았다. 잠깐 부르긴 했으나 종사는 안했다.
  2. 청대.
    1. 명대는 미진했다가.
      1. 아마도 내시들때문이었을듯. 거의 권력을 가졌던.
    2. 청대 시스템 -
      1. 건륭제때 되어서 낭세녕등이.
      2. 궁정회화가 가장 번성했던 시기.
      3. 하나만 그린 게 아니라 여러 개.
      4. 공신상, 전쟁기록화, 행사기록화, 등등..
        1. 전체 100상을 그려서, 장원각공신상 - 중갈몽골과 전쟁했는데, 그중 몇몇개에 어제를 남겼다.
    3. 화원을 3등급으로 나누어 월급을 주었다.
    4. 이 시기에는 벼슬을 가진 사람도
      1. 추일계인지 동방달인지 한사람은
    5. 1급화원 11금, 2급은 9, 3급은 7.
      1. 월급만으로도 먹고 사는데, 보너스를 50근이나 준 경우도 있다.

   

   

  1. 경기전

    경녕궁과 같은 기능을 했던, 태조의 어진을 모신 곳. 1872년 모사작품 하나 남아있다. 전주목에서 사람들이 함께 그려서 만들었다.

    어진을 그리면 찰방이나 현감 벼슬을 주었다. 아주 작은 고을 원님.

  2. 영흥 준원전 1913년 유리건판 사진이 있는데, 어디있는지 모른다.
  3. 영조어진 모사작 1900
  4. 1713 연잉군
  5. 철종어진 1861
  6. 17세기 공산초상 전탁
  7. 이명기의 오재순 초상.
  8. 얼마로 했는진 모르나 강세황 초상화로 그려진 71세상이 26살에 이명기가 그렷는데 10몇냥으로 인건비 많이 안들었다.
  9. 장말손 초상 15세기말 .
    1. 공신으로,
  10. 신숙주초상 15세기
  11. 이항복초상 초본 17세기, 서울대학교 박물관,
    1. 초본으로 잡고, 나중에 비단에 그린다.
  12. 유근 초상 17세기 초 개인 초상.
  13. 18세기 후모론 1651년 원작, 송시열 초상. 국박
    1. 화원이 송시열의 부탁을 받고 개인적으로 커미션된거일수도 있다. 후에 어제를 받음.
  14. 관복입고 찍은 것은 공신초상일 경우가 많다.
  15. 권대운기로연회도(권대운과 그 일파가 커미션.) ㅅ1689년 서울대학교박물관.
  16. 공적인건지 사적인건지 애매한 경우도 이싿.

    아까 강세황초상의 경우 71세. 국가가 약간 지원된 경우도 있다. 부분적으로.

    채제공 초상 1792년. 수원시.

    심환지ㅗ상 경기도박물관.

    1. 진신화상첩 부분 심이지 윤사국 규장각.
    2. 준천시사열무도 영조36(1760) 규장각.
      1. 기록화.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 반차도 1759 규장각.경주김씨,

    김홍도, 규장각도 1776년,

    영조세자(문효세자) 책봉의례도. 1784년, 서울대박물관.

    화성원행반차도

    을묘정리의궤반차도 규장각.

    전 김홍도, 화성능행도변 1795. 리움.

    국박 교토대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국박 / 리움 4개본이 있다.

    조선초기부터의 계회도 - 과거급제동기들이 계회 갖고 인원수만큼 만들어 나눠갖는다.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1542 광주박 / 국박 하나씩 있다.

    독서당계회도 1570서울대박물관.

    사옹원계회도 .

    중묘조서연관사연도 1533경 홍대박물관.

    이런것은 공적인 커미션일 경우가 많다. 서연관의 사람들에게 왕이 장치를 베풀었으면 공적일가능성이 많을듯

    호조낭관계회도 -

    총서시예도

       

    안견 그림 최소 30점 나왓다.. 안평대군, 기록.

    김두량 사계산수도

    김두량 김덕하

    궁중승불도.

    이자싱 도갑사관세음보살32응탱

    김명국 - 우리나라가 조선초 도화서 만들다가 인종 - 숙종초까지는 피폐해짐. 17세기에는 어진도 안그린다.

    심지어 세화(new year's painting) 화원이 할일이 별로 없다. 일본가서 인삼밀수까지 했다. <----

    그래서 이런 그림 많이 그린 것이다.

       

    이재난고 - 과거가 아닌 음직으로 장릉참봉을 시작으로 중9품에서 종6픔으로 갔다. 도화서 관직과 같다.

    황윤석의 녹봉은 종7품 직장으로 있었던 연봉이 환전하면 쌀13, 콩6두 - 58녕.

    500석군이었지만 서울에서 관리생활은 부족한 녹봉으로 힘들게 생활. 하숙.

    의복 관복도 비싸니까. 말도 있어야 하고.

    7품도 4.8냥인데 두달마다 받으면 밥먹고 살 돈이 없다는 게 허언이 아니다.

     

       

    회화사

반응형

+ Recent posts